“어떻게 제가 불편한 것을 그렇게 잘 아시나요”

진료를 하다 보면 자주 듣는 말이다. 본인이 불편한 증상을 이야기하지 않았는데도 “머리가 무겁고, 무릎이 시큰거리며 다리가 잘 부으시네요”라고 말하면 신기해한다. “콧물도 좀 나오고, 뱃속이 좀 더부룩하실 때가 많으시지요”라고 물으면 점쟁이를 보는 눈빛이다. 어떤 경우엔 친구를 데리고 와서 증상을 맞춰보라는 분들도 있다. 증상을 잘 맞추니, 다시 한 번 검증해 보려는 속셈이다. 한의학의 진단법을 통해 하는 말인데 갑자기 신통한 한의사가 되는 셈이다.

한의학에는 망진(望診), 문진(聞診), 문진(問診), 절진(切診)이라는 네 가지 진단법이 있다. 먼저 망진은 눈으로 환자를 살펴서 진단하는 것이다. 진료실에 구부정한 모습으로 들어오면 폐활량이 적을 것이고, 소화기가 눌려 있을 가능성이 높다. 호흡과 소화에 문제가 있으면 당연히 기운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안색이 누렇다면 소화기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이렇게 환자가 진료실로 들어서는 순간 진료가 시작된다. 한 순간에 걷는 모습, 어깨 골반 등의 균형과 구부러짐을 살필 즈음 환자는 내 앞에 앉는다. 그 다음엔 얼굴을 살핀다. 얼굴에선 눈을 가장 먼저 살펴본다. 눈빛이 살아있고 움직임이 경쾌하면 아직 정기가 손상되진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병이 있어도 깊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위중해도 회복이 빠를 수 있다. 흰자위의 색도 중요하다. 실핏줄이 노출되어 있으면 열이 나 염증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흰색이 맑지 않고 탁하면 오장 중 간(肝)이 피곤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보는 것은 얼굴색이다. 한의학에선 기혈의 넉넉함과 부족함이 안면부의 색깔 및 윤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본다. 모든 경락을 흐르는 기혈은 얼굴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동양인의 정상적인 안색은 미약한 황색과 붉은색이 합쳐진 데다 약간의 광택을 띤다.

얼굴색이 정상보다 누렇고, 피부도 건조한데다 입술이 창백하며 힘이 없어 보인다면 비위 즉 소화기에 문제가 있는 사람일 가능성이 높다. 말소리에도 힘이 없고 눈꼬리가 처져 있다면 보중익기탕 등의 보약 처방이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안색이 붉다면 속에 열이 있는 사람이다. 열에도 다양한 원인이 있으므로 얼굴의 어느 부위에 열이 있는가를 잘 살핀다. 이마는 심장에 해당하는 부위이고 턱은 신장, 코는 비위, 좌측 관골은 간, 우측 관골은 폐에 해당한다. 폐결핵이나 폐렴 등의 질환이 있다면 폐의 진액이 부족해진다. 관골부위에 핑크빛의 예쁜 색이 돈다. 전체적으로 건장하고 튼튼해 보이며 안색이 지나치게 붉다면 일반인들의 생각과는 달리 조심해야 할 사람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게다가 혈압까지 높다면 요주의 환자다. 나이까지 많다면 중풍의 위험이 높다고 분류해도 무리가 없다. 이렇게 몸의 신진대사가 항진이 되어 있는 사람은 보약보다는 열을 내려주는 약을 써야 한다.

얼굴이 창백하다면 빈혈도 의심해야 하지만 폐나 대장의 질병도 고려한다. 흰색은 폐, 대장과 연관된 색이기 때문이다. 흰색은 몸이 허하거나 냉한 사람들에게도 나타난다. 안색이 흰데다 몸이 마르고 거의 붉은색을 찾아볼 수 없다면 대부분 혈허증에 속한다고 보고 치료한다. 얼굴의 빛깔이 푸른빛을 띤다면 어혈이나 심한 통증이 있거나 기가 막혔을 가능성이 높다. 입술과 혀의 색까지 푸른색을 나타내면 어혈이 기혈의 소통을 막은 것이다. 어혈이 많이 생기는 간질환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안색이기도 하다. 요즘 한의원에선 검푸른 빛의 안색을 띤 환자를 보기는 어렵다. 간질환의 마지막 단계에 가서야 검푸른 안색이 나타난다. 간암이나 간경화 환자들이 모여 있는 종합병원에서나 이 같이 위중한 안색을 띠는 사람들이 많이 볼 수 있다.

검은색은 신장의 기능이 현저히 떨어질 때에 잘 나타나는 색이다. 한방에서 말하는 신장은 양방의 신장보다 좀 더 포괄적이지만 만성신기능부전 등의 증상에서도 얼굴색이 검은빛으로 나타난다. 어혈이 몸에 많을 때는 얼굴빛이 검으면서도 자주빛을 함께 띠기도 한다. 한방에서 흑색계통의 안색을 띤 환자들을 고질적인 중병으로 보고 치료도 쉽지 않다고 판단한다.

이렇게 색에 따라 장부의 질환을 판단하기도 하지만 특정질환의 원인을 분류할 때도 안색을 참고한다. 생리통이 심한 환자 중 안색이 하얗다면 빈혈 등의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 같은 생리통이라도 얼굴에 여드름이 많다거나 검붉은 안색을 띠고 있다면 어혈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얼굴을 본 다음엔 피부를 살피게 된다. 살이 찌고 피부는 부드러우며 혈색이 없는 데다 흰 피부색을 띠고 있다면, 양기가 부족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사람들이 평소에 기운이 없고 쉬 피로를 느끼며 머리가 멍해진다고 호소하면 기가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자세히 진료하게 된다. 몸이 수척하고 안색이 창백하며 체지방이 부족하다고 느낄 정도라면 음허일 가능성이 높다. 피부가 건조해져 가려움증이 동반되기도 한다.

한의사들이 말 못하는 소아를 진료할 때에 손가락을 살피는 것도 망진의 하나다. 손가락의 색이 선홍색을 띤다면 감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고, 청색이 나타났다면 놀랐을 수 있다. 자주색이 나타나면 열이 심하다고 본다.

망진과 진맥 등의 절진이 능숙해지면 불문진단(不問診斷) 즉 묻지도 않고 진단할 수 있게 된다. 신통한 한의사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한의학에선 네 가지 진단을 모두 하는 것이 원칙이다. 망진 이외에 환자의 말소리 숨소리 기침소리 등을 들어보는 문진(聞診), 증상을 자세히 물어보는 문진(問診)도 있다.

환자분들이 가장 친밀하게 느끼는 맥진은 절진(切診)에 속한다. 맥진에 숙달되면 오장육부의 상황을 세밀하게 살필 수 있다. 각 장부의 한열은 물론이고 허실과 조습(燥濕)까지 파악할 수 있다. 절진에는 맥진 이외에도 몸의 중요한 혈자리를 눌러보는 압진(壓診)도 있다.

이렇게 네 가지 진단을 통해 병의 원인을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신통한 한의사가 아니라 진단을 잘하는 한의사인 셈이다.

/한뜸 한의원 원장

 
본 기사는 교육신문 베리타스알파의 고유 콘텐츠입니다.
일부 게재 시 출처를 밝히거나 링크를 달아주시고 사진 도표 기사전문 게재 시 본사와 협의 바랍니다.
저작권자 © 베리타스알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